분류 전체보기
-
[Kotlin] 2. 변수와 자료형Kotlin 2024. 3. 12. 14:56
"들어가기에 앞서 " 코틀린과 자바의 문법 차이 1. System.println.out(); = println() 여기서 볼 수 있듯이 코틀린은 println() 을 이용하여 콘솔에 출력할 수 있으며 구문이 끝나는 부분에 세미클론 ( ; ) 을 붙이지 않아도 된다. var :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변수 , 언제든지 읽기 쓰기 가능 val : 자바에 final 과 같은 의미의 변수, 읽기만 가능 var a:Int 코틀린은 다른 클래식 언어와 다르게 선언 시 자동 초기화가 안된다. 그래서 nullPointExeption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코틀린은 자바와 다르게 자료형을 :Int 이런 식으로 선언해줍니다 자바와 동일한 자료형을 가지고 있으면 하나 또 다른 점은 var a?:Int = null 이런식으로 nu..
-
Spring Boot & React 연동하기 2카테고리 없음 2024. 3. 7. 21:38
개발 환경 1. OS : Widow 2. JDK: 17 3. IDE : Eclipse, VsCode Spring Boot & React 연동1 보러가기 3. npm Node Packaged Manager의 약자 Node.js 로 만들어진 Pakage(Module) 을 관리해주는 툴이다 새로운 cmd 나 전 게시물에서 code . 을 이용해 연 Vscode 터미널에 아래 명령어를 차례대로 입력한다 3-1 npm install(package.json 파일 의존성 설치) Package.json이란?? 현재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와 패키지 매니저(npm, yarn)을 통해 설치한 모듈들의 의존성을 관리하는 파일이다. (메타 데이터 정보를 가지고 있다) 확장자가 Json으로 특정 메서드를 이용해 Javascript..
-
Spring Boot & React 연동카테고리 없음 2024. 3. 7. 20:01
개발 환경 1. OS : Widow 2. JDK: 17 3. IDE : Eclipse 1 .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생성 2. React 프로젝트 생성 터미널을 이용해 해당 프로젝트 폴더로(스프링부트 프로젝트 경로) 이동 한 후 src/main하위 경로에 react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cmd 경로 이동 명령어 d: -> d 드라이브 이동 cd {이동한 경로 입력} npx create-react-app {프로젝트 명} -> react 프로젝트 생성 npm start -> react 프로젝트 실행 2-1. npx create-react-app {프로젝트 명} -> react 프로젝트 생성 * 꼭 Spring Boot 프로젝트에 src/main 하위 경로에 생성해줘야한다 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