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 Spring Boot > RESTfulSpring Boot 2023. 11. 2. 22:46
프로젝트를 하면서 ajax 를 통해 처음으로 RESTful 을 혼자 힘으로 구현해봤다. 그래서 내가 이해한 개념과 코드를 포스팅해보려고한다 ( 까먹지 않기 위해..) 우선 RESTful 을 알기위해서 REST 부터 설명해보겠습니다.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웹 서비스를 위한 아키텍처 스타일 중 하나로, 자원을 URI로 표현하고 HTTP 메서드를 이용하여 해당 자원에 대한 행위를 정의합니다. RESTful 을 구현하기 위해선 @RestController 또는 @Controller + @Responsbody 를 이용해야합니다. 우선 저는 restcontroller 를 사용하지 않았다 controller 와 responsebody 를 통해 RESTful 을 구현해봤..
-
[개발상식] URL URI 차이개발상식(어렵다어려붜) 2023. 11. 2. 22:19
웹개발 프로젝트를 하며 URL 과 URI 에 차이점에대해 정말 헷갈렸다. 그래서 다시 공부할 겸 한번 정리 해보겠다. URL 이란? URL 은 우리가 가장 흔하게 보는 것으로 Resource의 정확한 위치 정보(파일의 위치) 를 나타낸다. URL 을 통해 Resource 가 어디에 있는지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URL 예시 내가 프로젝트를 수행하던 사이트 URL 로 예시를 들겠다. http:// localhost:/my/main -> my 라는 domain 에서 main 이라는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서버에서는 해당 라우팅에만 알맞은 자원을 전송해주면 이는 자원의 실제 위치이므로 URL 이다. URI 란? URI는 특정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
-
[ 개발상식 ] CRUD 란?개발상식(어렵다어려붜) 2023. 11. 2. 22:01
CRUD 란 대부분의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기본적인 데이터 처리 기능인 Create(생성) , Read(읽기),Update(갱신),Delete(삭제)를 묶어 일컫는 말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갖추어야 할 기능(정보의 참조/검색/갱신)을 가리키는 용어로서도 사용된다. DB 에서는 기초적인 4가지 쿼리를 의미한다. 이름 조작 SQL Create 생성 INSERT Read 읽기 SELECT Update 수정 UPDATE Delete 삭제 DELETE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HTTP 포로토콜을 이용해 RESTful 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도 CRUD 개념이 활용된다. 이름 조작 Method Create 생성 POST Read 읽기 GET Update 수정 PUT Delete 삭제 DE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