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tlin] 6. 반복문과 증감 연산자Kotlin 2024. 3. 12. 16:55
증감 연산자
아래 반복문에서 전위와 후위 결과 값까지 보여드리겠습니다.
증가 연산자 ++a,a++
감소 연산자 --a, a--
<< 전위 후위 차이 >>
전위: 연산자가 포함된 구문에서 이미 증감된 수를 반영
후위 : 해당 구문에서 증감을 사용하지 않고 다음 구문에서 부터 반영
반복문
while
var a = 1; while(a < 5){ println(++a) }
연산자가 포함된 구문에서 이미 증감된 수를 반영
while 반복문 조건에 맞게 출력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do - while
조건과 관계없이 반드시 한번은 실행한다
var a = 0; do{ println(a++) }while(a < 2)
해당 구문에서 증감을 사용하지 않고 다음 구문에서 부터 반영되어 처음에는 0이 나오고 다음에 +1 이 된 값이 나오는 걸 확인 할 수 있다.
for
코드로 보여드리겠습니다.
fun main() { for(i in 0..9){ print(i) }
여기를 확인 하시면 i 는 타입 지정없이 int형으로 자동참조 되고
0..9 는 i의 시작 범위와 끝 범위 입니다.
Step
+1 이 아닌 다른 값을 지정하기 위해선 step 이라는 옵션을 추가합니다.
for(i in 0..9 step 3){ print(i) }
결과 downTo
-1 씩 감소
for(i in 9 downTo 0 ){ println(i)
결과 여기서 자주 사용되는 배열의 인덱스 값을 하나씩 꺼내오는 로직을 짜보면 이렇게 작성이 가능합니다.
var arr = arrayOfNulls<Int>(10) for(i in 0..arr.size-1){ arr[i] = i println(arr[i]) }
array 는 자바에선 length 속성을 이용해 배열의 길이를 가져오지만
kotlin에선 size 속성으로 길이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결과
Char 형 반복문
for(i in 'a'..'e'){ println(i) }
결과 '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lin] 8. 클래스 생성, 생성자, init, constructor (보조 생성자 ) (0) 2024.03.12 [Kotlin] 7. 흐름제어와 논리연산자 (0) 2024.03.12 [Kotlin]5. 조건문과 비교연산자 (0) 2024.03.12 [Kotlin] 4. 타입추론과 함수 (0) 2024.03.12 [Kotlin] 3. 형변환과 배열 (0) 2024.03.12